해당 글은 groomedu의 스프링부트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강의를 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.
03 데이터베이스 세팅
- User 테이블 생성
테이블 데이터를 담을 model 생성
@Entity
- 클래스를 테이블화 시키기 위한 어노테이션
- User 클래스가 Mysql에 자동으로 테이블이 생성이 됌.
@Id
- PK 값으로 지정해주는 어노테이션
@GeneratedValue(stategy = GenerationType.IDENTITY)
- 프로젝트에서 연결된 DB의 넘버링 전략을 따라간다.
- 예를 들어 오라클 사용하면 시퀀스 사용, mysql 사용하면 auto increment 사용한다는 의미
@CreationTimestamp
-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
Enum 타입 사용 -> 도메인 사용 가능
프로그램 상에서 도메인이란 어떤 범위가 정해졌다는 의미
예) 성별 : 남, 여
@ColumnDefault("user")
- 컬럼의 기본값 'user'로 설정
application.yml
jpa:
ddl-auto : create
-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마다 테이블을 생성하겠다는 뜻
- 그래서 최초 테이블 생성시에만 create로 설정해서 프로젝트 실행, 그 후에는 update로 변경해놔야 함.
physical-stategy : org.hibernate.boot.model.naming.PhysicalNamingStategyStategyStandardImpl
entity에 선언한 변수명 그대로 컬럼명을 만들어주겠다는 의미
ORM -> Java(다른언어) Object -> 테이블로 매핑해주는 기술
'Spring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3 - 03 Reply 테이블 생성 (0) | 2024.08.08 |
---|---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3 - 02 Board 테이블 생성 (0) | 2024.08.08 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6 lombok 세팅 및 사용해보기 (0) | 2024.08.05 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5 maven이란 (0) | 2024.08.05 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4 http 요청 실습_2 (0) | 2024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