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글은 groomedu의 스프링부트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강의를 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.
02 시작해봅시다.
- 02 MIME 타입이란
클라이언트 -> (post) 요청 -> 서버 :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추가해달라고 요청
요청 시 데이터를 담는 공간 : 헤더, 바디
http 헤더 : data 설명 담음.
http 바디 : data 담음.
http 통신 방식
- 패킷 스위칭 방식
- 데이터를 하나씩 쪼갬 ( 쪼갠 데이터 , 패킷)
- 새롭게 연결할 선이 기존에 연결된 선에 붙음.
-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조립이 필요한데 조립에 대한 설명을 헤더에 담음.
- 서킷 스위칭 방식
- 선이 계속 연결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듦.
바디에 담을 데이터가 무슨 데이터인지 헤더에 적을 때 마음대로 적을 수 있음.
-> 적을 때 정해놓은 규칙 : MIME 타입
'Spring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4 http 요청 실습_2 (0) | 2024.08.05 |
---|---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3 http 요청 실습_1 (0) | 2024.08.05 |
[goormedu 강의]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02 - 01 stateless란 (0) | 2024.08.05 |
[SpringBoot] 호텔예약사이트 - 관리자 객실 등록 (0) | 2024.03.30 |
[SpringBoot] 호텔예약사이트 - 관리자 객실조회 (0) | 2024.03.25 |